검색결과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춘래불사춘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춘래불사춘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봄이 와도 봄 같지 않고 추운 것을 ‘춘래불사춘(春來不似春)’이라고 하는데 뜻밖에도 중국의 4대 미인 왕소군(王昭君)과 관련 있는 말이다. 왕소군은 한(漢)나라 원제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4.09 00:29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교과서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교과서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선비들의 교육 방법은 크게 두 가지였다. 하나는 자학(字學)으로서 글자를 가르치는 것. 다른 하나는 마음가짐과 행실, 즉 인격을 함양하는 것이다. 그런데 이 두 가지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4.06 00:43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독대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독대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조광조(趙光祖)·김정(金淨) 등의 사림들이 화(禍)를 입은 기묘사화(己卯士禍)를 ‘신무문(神武門)의 변(變)’이라고도 한다. 중종이 재위 14년(1519) 11월 신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4.04 00:13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무소속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무소속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고려 공민왕은 재위 8년(1359) 원나라 기황후(奇皇后)를 믿고 위세를 부리던 기철(奇轍) 일당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운 19명을 안사공신(安社功臣)으로 책봉했다.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4.02 00:24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양극화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양극화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역사서에서 경제 분야를 기록한 부분이 식화지(食貨志)다. 반고(班固)의 『한서(漢書)』에서 비롯되었다. 『한서』 ‘식화지’는 홍범(洪範) 팔정(八政)을 설명하면서 첫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3.30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라면과 건면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라면과 건면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라면은 한자로 랍면(拉面)이라고 하는데 일각에서는 일본의 안도 모후쿠(安藤百福·1910~2007)가 발명했다고 본다. 일제시대 대만(臺灣)에서 출생한 안도의 원명은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3.28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숨은 인재 발탁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숨은 인재 발탁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『세조실록』 재위 7년(1461) 6월조에는 ‘부암의 늙은이, 위빈의 노인(渭濱之老)’이라는 말이 나온다. ‘부암의 늙은이’는 부열(傅說)을 뜻한다. 은(殷)나라 고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3.26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삼월 삼짇날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삼월 삼짇날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음력으로 삼월 삼짇날(3월 3일) 치르는 불계라는 의식이 있다.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묵은 때를 씻어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하던 의식이다. 원래는 음력 3월 첫째 사일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3.23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훈민정음 해례본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훈민정음 해례본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『훈민정음(訓民正音)』 서문은 “비록 바람소리나 학의 울음소리, 닭 울음소리, 개 짖는 소리까지 모두 쓸 수 있다”고 말하고 있다. 귀에 들리는 모든 소리는 다 적을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3.21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민심 획득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민심 획득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민심(民心)은 곧 천심(天心)이란 말이 있다. 백성들에게 참정권 자체가 없던 왕조시대에 생긴 말이다. 민심을 얻는 사람이 천명(天命)을 받아 임금이 된다는 역성혁명의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3.19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다문화 사회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다문화 사회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『태종실록』 10년(1410) 10월조는 “덕릉(德陵)·안릉(安陵) 두 능을 함주(咸州·함흥) 달단동 언덕에 옮겨 합장했다”고 전하고 있다. 덕릉은 태조 이성계의 고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3.16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정치 올인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정치 올인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‘신체발부(身體髮膚)는 수지부모(受之父母)’라는 말이 있다. 『효경(孝經)』 ‘개종명의장(開宗明義章)’에 나오는데, ‘불감훼상(不敢毁傷)이 효지시야(孝之始也)’라는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3.14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원로 홀대 사회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원로 홀대 사회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나이 70이 기(耆), 80이 로(老)인데, 일흔 살 이상의 2품 이상 전·현직 관료가 들어가는 곳이 기로소(耆老所)다. 국왕은 환갑을 넘으면 들어갈 수 있었는데 영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3.12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삼시협약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삼시협약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‘조선총독부 시정(施政) 30년사’에 따르면 1925년 6월 총독부 경무국장 미쓰야(三矢宮松)와 만주군벌 장작림(張作霖) 휘하의 봉천성 경무국장 우진(于珍)이 ‘한인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3.09 00:32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공천과 파천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공천과 파천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지금 각 정당에서 진행하는 공천(公薦)은 사실상 당천(黨薦)이다. 원래 공천이란 말은 인사권이 있는 관아에서 임금에게 추천하는 것을 뜻했다. 문관의 인사권이 있는 이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3.07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손병희의 삼전론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손병희의 삼전론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3·1운동은 자칫했으면 미수에 그쳤을 수도 있었다. 최남선(崔南善)이 쓴 ‘독립선언서’는 천도교에서 운영하는 보성사에서 인쇄했다. 한밤중에 몰래 독립선언서를 인쇄하는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3.05 00:43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3·1운동 1년 후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3·1운동 1년 후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1919년 9월 2일 신임 총독 사이토 마고토(齋藤實)가 부임하러 남대문역(현 서울역)에 도착하자 만 64세의 청년 노인 강우규(姜宇奎)가 폭탄을 던졌다. 사이토와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3.02 00:29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탈국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탈국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임금들의 학정에 대항할 수 있는 백성들의 무기가 탈국(脫國·국외탈출)이었다. 『삼국사기』 고구려 대무신왕(大武神王) 2년(서기 19) 1월조는 “백제 백성 1000여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2.29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봄꽃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봄꽃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봄꽃을 연화(煙花)라고 한다. 안개(烟) 속에 피는 꽃(花)이란 아지랑이 속에서 피는 꽃을 뜻하리라. 시성(詩聖) 두보(杜甫)의 ‘상춘오수(傷春五首)’에서 나온 말인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2.27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국왕의 반성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국왕의 반성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소의간식이란 말이 있다. 줄여서 소간이라고 하는데 새벽(宵)에 옷을 입고 해진 후에야 식사를 할 정도로 국왕이 정사에 부지런하다는 뜻이다. 소간지우라는 말은 그래서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2.24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담파고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담파고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조선의 유명한 애연가(愛煙家)는 계곡(谿谷) 장유(張維·1587~1638)인데 그는 ‘담배의 효능을 칭송한다(稱頌南草之效能)’는 글도 남겼을 정도다. 이 글에서 장유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2.22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홍매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홍매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겨울에 피는 매화(梅花)는 선비의 지조를 나타내면서 봄소식을 뜻한다. 매화 중에는 붉은 꽃, ‘홍매(紅梅)’가 있다.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 고젠 히로시(興膳宏)가 쓴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2.20 00:11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공생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공생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조선 후기 호조(戶曹) 서리(胥吏)였던 김수팽(金壽彭)이 하루는 동생의 집에 갔더니 마당에 줄지어선 동이에 검푸른 염료가 묻어 있었다. 무엇을 하느냐고 묻자 ‘제 처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2.17 00:00

  •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난세(2)

    [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] 난세(2)

    이덕일역사평론가위기는 기회라는 말이 있다. 난세는 특히 야심가들에게 바라 마지 않는 기회다. 조조(曹操)가 그런 인물이다. 『후한서(後漢書)』 ‘허소열전(許?列傳)’에 따르면 허소

    중앙일보

    2012.02.15 00:02